보통 root계정에서 yum 명령어를 사용해서 여러가지를 설치합니다.
개발을 하다보면 JDK같은 경우엔 여러버전을 사용하게 되는데요...
이를 위한 여러버전 설정 방법을 공유합니다.
1. root계정으로 서버에 로그인
2. 최신 버전 JDK설치
$ yum install java
* 현재는 1.8버전이 설치됩니다.
3. 1.7버전 설치하기
$ yum install java-1.7.0-openjdk
4. 1.6버전 설치하기
$ yum install java-1.6.0-openjdk
5. 특정 버전을 path에 잡아주기
$ alternatives --config java
3 개의 프로그램이 'java'를 제공합니다.
선택 명령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+ 1 /usr/lib/jvm/java-1.8.0-openjdk-1.8.0.45-30.b13.el7_1.x86_64/jre/bin/java
* 2 /usr/lib/jvm/java-1.7.0-openjdk-1.7.0.79-2.5.5.1.el7_1.x86_64/jre/bin/java
3 /usr/lib/jvm/jre-1.6.0-openjdk.x86_64/bin/java
현재 선택[+]을 유지하려면 엔터키를 누르고, 아니면 선택 번호를 입력하십시오: 1
이중에 맘에 드는 버전의 번호를 입력합니다.
(저는 1.8로...)
6. JDK 버전 확인
$ java -version
openjdk version "1.8.0_45"
OpenJDK Runtime Environment (build 1.8.0_45-b13)
OpenJDK 64-Bit Server VM (build 25.45-b02, mixed mode)
단,
이설정은 모든 계정에 실시간 적용되므로 이점 유의해야 한다.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aver works 계정으로 메일 보내기 (0) | 2016.03.11 |
---|---|
이클립스 2개 프로잭트로 하나의 웹서비스 만들기 (0) | 2015.06.26 |
UML 사용하기 (0) | 2014.11.04 |
파일 올리기 full path 알아오기 (0) | 2012.04.03 |
Eclipse 구동시 에러 잡기 (0) | 2010.08.02 |